IOT Smart Switch 비교
사실 IOT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아주 심플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아이와 함께 자려고 누웠다가 방안의 불을 끄는 것이 너무 불편했고, 이 문제를 금방해결 할 수 있을것 같아 "그까짓꺼" 하면서 이것저것 알아보기 시작한게 이쪽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였다.
근데 생각보다 문제가 쉽게 끝나지 않았다.
이유는 Wemo light switch 같은 대부분의 스마트 스위치들은 neutral wire(중성선) 이라고 하는 전기선을 필요로 했으며, 대부분의 한국의 집에는 중성선이 스위치 박스에 존재하지 않는다. (지은지 1년도 안된 메이저 건설사가 지은 아파트에 살고 있는 필자조차 안방과 거실을 제외한 방에는 중성선은 없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월부터 10월이 다 되도록 아마존이며 알리익스프레스, 그리고 IOT카페를 다니면서 찾아낸 사항을 공유하기 위해 포스팅을 하기로 결심했다.
일단 내가 원한 조건은 아래와 같다.
- 220V에서 운영 가능하며
- Samsung smartthings와 연결이 가능
- Neutral wire(중성선) 없이 설치 가능
- 디자인이 최소한 이상하지는 않아야 한다.
- dimmer(밝기 조절)기능은 필요없다. 밝기조절이 안되는 일반 형광등 혹은 led등에 설치해서 등 자체를 망가트릴 가능성이 있다.
1. sonoff basic
장점
- 개당 만원도 안되는 싼 가격
- 번거롭기 하지만 커스텀 펌웨어를 올려서 smartthings와 연결 가능 (http://d3brain.tistory.com/4)
- 중성선이 필요 없음
- 220v 사용 가능
단점
- smartthings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커스텀 펌웨어를 올려야 한다.
- 전등 보다 앞에 설치할 경우
기존에 벽에 있던 물리 스위치와 연동이 안된다.
예를 들어 벽 스위치가 off되어있다면 sonoff로 아무리 on을 시켜봐야 불이 켜지지 않는다. 반대로 sonoff가 off가 되어있다면 기존의 벽 스위치를 아무리 눌러도 불이 켜지지 않는다. - 전등과 스위치 사이에 설치할 경우
벽에 있던 물리스위치를 on/off할 경우 sonoff의 전원 자체가 끊어졌다 붙었다 한다. 이때 sonoff의 설정페이지에서 전원이 들어올때 default상태를 지정할수 있는데, 기본값을 on상태로 변경할수 있도록 할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물리 스위치가 off되면 sonoff도 off가 되면서 전등이 꺼지고, 물리 스위치가 on되어있다면 sonoff에도 전원이 들어가 전등이 켜지도록 할수 있다. 이렇게되면 그럭저럭 쓸만한거 아닌가 생각이 들었지만 확인해보니 switch를 on시킬때 sonoff도 on이 되는 시간이 약 2~3초 정도 딜레이가 생겨 실제로 스위치를 누르고 불이 켜지는데까지 2~3초가 걸린다고 한다.
선택하지 않은 이유
2. 브로드링크 rm pro + tc2 조합
브로드링크의 RM PRO와 동일 회사의 TC2를 이용한 조합법이다. RM PRO는 로지텍의 harmony hub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리모컨을 학습시켜서 앱으로 리모컨을 사용하듯이 다른 제품들을 동작시킬수 있는 제품이다. RM PRO는 WIFI/IR/RF방식의 통신을 지원하며 TC2와는 RF방식을 이용하여 마지 리모컨으로 전등을 on/off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TC2를 구매할때 유의할 점이 있다면, TC2는 다양한 구매옵션을 가지고 있는데 반드시 US버전 + 220V로 옵션을 선택해서 구매해야 한다.
장점
유리를 이용한 스위치라 생각보다 예쁘다(실제로 구매까지 했지만 박스만 한번 열어보고 설치하지는 않았다.)
중성선이 필요없다.
220v를 지원한다.
일단 TC2와 rm pro를 동시에 구매하는것이 단점이지만 rm pro를 이용하여 리모컨을 사용하는 기기들을 통합할수 있음으로 rm pro의 활용도 자체는 높은 편이다.
단점
- RM pro와 TC2를 모두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약 7만원) 조금 비싼편이다.
- smartthings와 연동하기 번거롭다.
해당 제품을 smartthings와 한번에 연결하는 방법은 없다.
스마트싱스 + 안드로이드폰에 rm tasker 앱 설치 + RM pro로 연결하거나 스마트싱스 + mqtt broker + home assistant + RM pro로 연동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선택하지 않은 이유
3. Xiaomi Aqara Wall Switch
선택하지 않은 이유
4. Aeotec Micro switch (링크)
장점
기존 벽 스위치와 연동이 된다.
아마존에 유저가 남긴 댓글의 답변을 보면 마이크로 스위치가 off되어있을때 물리 스위치를 누르면 물리스위치가 on/off인지 상관없이 on이되고, 마이크로 스위치가 on이 되어있으면 물리스위치의 on/off 와 관계없이 물리 스위치를 누르면 off가 된다고 한다.아마존 페이지에는 110v 전용이라고 되어있지만 smartthings 커뮤니티등을 보면 220v 에서 운영하는 사람도 있고, 실제로 aoetec에 메일을 보내서 220v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다는것을 확인받았다고 한다.
아마존 페이지에 보면 중성선이 필수라고 되어있지만, 업체 사이트에 나와있는 결선도를 보면(https://aeotec.freshdesk.com/support/solutions/articles/6000148104-micro-dimmer-g2-micro-smart-dimmer-g2-wiring-schematic) 중성선이 없어도 설치 가능해 보인다.
smartthings가 공식으로 지원한다.
단점
국내 스위치 박스에 들어갈수도/그렇지 않을수도 있다.
가로가 5cm로 국내 스위치박스가 약 5~5.5cm인것을 감안하면 들어갈수도, 그렇지 않을수도 있다.
선택하지 않은 이유
5. 이젝스 전등 스위치(http://www.ezex.co.kr/2017/kor/product/product0102.php)
장점
-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AS가 가능하다.
- smartthings와 연동된다.
- 중성선이 필요없다.
- 당연히 220v에서 사용가능하다.
단점
비싸다. 가격은 스위치의 gang에 따라 다르며 기본9만원 정도 한다.
디자인이 후지다.
선택하지 않은 이유
사실 대부분의 외국계 스위치의 경우는 스위치에 1gang이거나 2gang인것에 비해 이 스위치는 6-gang까지 있어 한국의 실정에 잘맞는 편이다.(필자의 집에도 거실에 스위치는 4개의 스위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러개의 스위치를 한번에 스마트스위치로 변경하려면 이 제품말고는 대안이 없다. 또한 중성선도 필요없고 smartthings에도 잘 붙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안이쁘다. 정말 소름끼치게 안이쁘다....
저 초록색으로 된 c2o 라고 써있는것만 지울수 있다면 구매했겠지만....(사실 사서 아세톤 같은걸로 지워볼까도 고민해봤다)
우리집에 저렇게 이쁘지 않은 스위치를 붙이고 싶지 않아서 포기했다.
6. Aeotec Nano Dimmer Switch(링크)
장점
- 220v에서 사용가능하다.
- 설치 시 중성선이 필요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X5o5n0gfmWk)
- 사이즈가 가로 4.5cm밖에 안됨으로 스위치박스에 충분히 들어간다.
- 설치가 쉽다.
단점
dimmer 스위치이기때문에 밝기조절이 가능한 스위치이다. 그러나 일반형광등에는 설치해봤지 쓸수 없는 기능이고 써서도 안된다.(고장이나 등의 수명단축에 영향을 줄수 있다.)
구매시 주의할 점
7. Lutron Caseta switch(pd-5s-dv-wh)
장점
- 220v에서 운영되는것 같다.
- 중성선이 필요없다.
- smarttings에 잘 붙는다.
단점
- smartthings에 붙이려면 lutron bridge(https://www.amazon.com/LUTRON-L-BDG2-WH-Caseta-Wireless-HomeKit-enabled/dp/B00XPW67ZM/ref=sr_1_1?s=hi&ie=UTF8&qid=1507350119&sr=1-1&keywords=lutron+caseta+bridge)를 구매해서 switch - lutron bridge - smartthings 형태로 붙여야 한다.
- 2gang 인것 처럼 보이지만, 위의 스위치는 on 스위치 아래는 off스위치이다.
- lutron스위치를 사서 붙이려면 wall plate도 사야한다(약 3~4불정도)
- switch + bridge조합으로 가야 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이 약 15만원 정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