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 설치 및 초기 설정

라즈베리파이는 초기에 교육용 보드로 나왔지만, home-assistance나 homebridge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사용함으로서 좀더 많은 기기와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중이다.


많은분들이 나처럼 IOT기기들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라즈베리파이를 구동중이어서 라즈베리파이 설치 및 설정까지 한번 해보려고 한다. 사실 맨날 하는일이 개발하고 오픈소스 설치하고 배포하고 하는일을 하는 나는 크게 어렵지 않지만 전혀 관련 없는 일을 하고 계시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차근차근 한번 써보도록 하겠다.


일단 준비물은

  1. 라즈베리파이 3 B type
  2. 마이크로SD 8gb
  3. 라즈베리파이 케이스
  4. (옵션) 라즈베리파이 방열판
정도가 되겠다. 다합쳐서 한 5만원에서 5만5천원 선이다.


직접 하나하나 스크린샷을 뜨면서 포스팅 하면 참 좋겠지만 여기에 잘 나와있기 때문에 굳이 중복 포스팅을 안하려고 한다. 해당 글에서 6번까지 쭉 따라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보안을 위해 ssh 기본포트를 22번포트에서 다른포트(원하는)로 변경을 한다. 그 내용은 이 블로그글을 보고 따라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ssh는 22번 포트로 통신을 한다.

공유기가 물려진 상태에 하단에 라즈베리파이를 놓고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22번포트로 놔도 좋다. 하지만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포워딩이나 DMZ설정을 하게 되면 해외의 다양한 사람들이 22번 포트로 ssh접근을 해온다. 보통은 22번 포트에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입력하는 brute force attack 이다. 따라서 포트만 변경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할 기회조차 주지 않게 됨으로 상당히 안전하게 된다. 


거기에 조금더 안전하게 보호하려면 공유기 마다 있는 기능인지는 모르겠지만 "포트스캐너 보호" 기능을 키게 되면 어떤포트가 서비스중인지 조차 외부에서 파악이 안되기 때문에 조금 더 안전해 진다.(이건 옵션사항)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