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에 docker설치하는 방법
이전 포스팅: 라즈베리파이 설치 및 초기 설정
이전 포스팅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언 os를 올리고 ssh까지 설정을 완료했다.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에 docker를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그런데 도커가 뭐지?
도커는 vmware같은 가상화 기술이다. 즉 vmware처럼 내 라즈베리파이 안에 가상의 PC를 하나 더 만들고 그안에 어플리케이션이나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것이다. 도커는 가상화 기술이면서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어떤 벤치마크에서는 네이티브 환경과 속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그런데 그 링크를 못찾겠다..)
그리고 도커를 더 강력하게 해주는 도커-이미지 라는 것이 있는데. 이미지는 환경 그대로를 설정파일 형태로 만들어 놓은것이다. 이를 hub.docker.com에 올려놓고 여러사람들과 공유하여 사용할수도 있고 누군가 만들어 놓은 도커-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수도 있다.
또 여기에 도커-컨테이너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다운로드 받은 도커 이미지를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여기서는 라즈베리파이)에 설치 공간을 마련해 주는 작업을 말한다.
즉 도커허브에서 다운로드 받은 도커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만들어야 실행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럼 도커가 왜 좋은거지?
도커 설치
curl -sSL https://get.docker.com | sh ## 도커 설치 |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에게 권한주기 |
끝이다. 원래는 sudo docker ~~이런식으로 도커 명령어를 사용할땐 항상 sudo로 루트권한으로 실행해야 했지만 두번째 줄을 설정함으로서 sudo없이 docker로 도커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IOT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things를 이용한 PC ON/OFF (0) | 2018.07.04 |
---|---|
라즈베리파이에 homebridge 설치하기 - 애플홈킷과 Smartthings와 연동하기 (0) | 2017.10.10 |
라즈베리파이 설치 및 초기 설정 (0) | 2017.10.08 |